- 7월부터 전국 최초로 사물인터넷(IoT)·인공지능(AI) 기반(감량 데이터 전송)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지원사업 추진
- 14개 구·군 내 단독주택 및 소규모 공동주택(100세대 이하)에 거주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…
- 내년부터 전 세대로 확대할 계획
- 6.25. 아동복지시설인 보육원에 다수의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기증
□ 부산시(시장 박형준)는 오는 7월부터 전국 최초로 사물인터넷(IoT)·인공지능(AI) 기반(감량 데이터 전송)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.
○ 시는 지난해(2024년)부터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제품에 대한 원천감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최신 기술 적용 방법을 고민해왔다.
○ 이에 수요조사를 통해 참여 신청한 14개 구·군(영도구, 수영구 제외)을 대상으로 올해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한다.
□ 이번에 시범 운영하는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▲음식물쓰레기 투입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 기능 ▲감량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통신(와이파이) 기능 ▲감량기 강력 탈취 기능으로 구성된다.
○ (사)한국음식물감량기협회를 통해 관련 기업들과 회의를 진행해 사물인터넷(IoT)/인공지능(AI) 기반(감량 데이터 전송)의 감량기 개발 가능성을 논의하고 올해 상반기까지 개발·인증 완료한 4개 제품을 시범사업에 적용한다.
□ 시는 시범사업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(2026년)부터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지원사업을 전 세대로 확대할 예정이다.
○ 이번 시범사업 대상은 단독주택 및 소규모 공동주택(100세대 이하)에 거주하는 세대로, 내년도부터 부산지역 전체 세대(공동주택, 단독, 소규모 공동주택 등)를 대상으로 예산을 확보해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지원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.
□ 한편, 시는 이번 사업의 취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 6월 25일 부산지역의 아동복지시설인 보육원에 다수의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기증했다.
○ 이번 시범사업의 취지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(사)한국음식물감량기협회에서 기증한 다수의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아동복지협회를 통해 열악한 환경에 놓인 보육원에 전달하는 기증행사를 병행했다.
□ 이병석 시 환경물정책실장은 “모든 폐기물은 먼저 적게 배출하고 배출된 폐기물은 최대한 재활용해야 하며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목표”라며, “우리시는 음식물쓰레기 원천감량화 사업 정착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것”이라고 전했다.